2025년 5월 휴일은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던 ‘황금연휴’와는 거리가 멀지만, 근로자의 날, 어린이날, 석가탄신일 등 굵직한 휴일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연차 활용만 잘하면 5월을 꽤 효율적으로 쉴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로자의 날은 법정공휴일이 아니고, 대체공휴일 적용 여부도 다르기 때문에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올해 5월에는 며칠을 쉴 수 있을까?”, “대체휴일은 언제지?”, “연차를 언제 쓰는 게 좋을까?” 궁금증을 느끼는 분들을 위해 2025년 5월 휴일 정리 정보를 상세하게 안내해드립니다.
2025년 5월 주요 휴일 한눈에 보기
날짜 | 요일 | 휴일명 | 법정공휴일 여부 | 대체휴일 적용 | 비고 |
---|---|---|---|---|---|
5월 1일 | 목요일 | 근로자의 날 | ❌ (법정공휴일 아님) | ❌ | 일부 유급 |
5월 5일 | 월요일 | 어린이날 | ✅ (공휴일) | ❌ | 대체휴일 없음 |
5월 12일 | 월요일 | 석가탄신일 | ✅ (공휴일) | ❌ | 불교 공휴일 |
5월 15일 | 목요일 | 스승의 날 | ❌ (비공휴일) | ❌ | |
5월 20일 | 화요일 | 성년의 날 | ❌ (비공휴일) | ❌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근로자의 날(5월 1일)|법정공휴일이 아니라고?
많은 분들이 오해하는 부분 중 하나는 바로 근로자의 날이 공휴일이라고 착각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근로자의 날은 엄연히 말해 ‘법정공휴일’이 아닙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냥 일하는 날’도 아닙니다.
근로자의 날은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대부분의 근로자에게 유급휴일로 적용되며, 일반적인 사기업은 이 날을 쉬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공무원이나 교직원은 공휴일로 인정되지 않아 정상 출근하게 됩니다.
✅ 정리하자면,
- 사기업 근로자: 대체로 유급휴일로 인정
- 공무원·공공기관 종사자: 정상 출근
- 알바/비정규직: 고용계약서에 따라 다름 (유급 여부 확인 필요)
어린이날(5월 5일)|대체공휴일은 없어요!
2025년 5월 5일은 월요일, 즉 평일입니다. 이 날은 법정공휴일로 모든 학교, 관공서, 대부분의 기업이 쉽니다. 특히 어린 자녀가 있는 부모들은 어린이날 가족 나들이를 위해 하루를 기다리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은 대체공휴일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대체공휴일은 해당 공휴일이 일요일과 겹칠 경우에만 다음 날로 하루 쉬는 제도입니다. 2025년 어린이날은 월요일이라 대체공휴일이 생기지 않습니다.
석가탄신일(5월 12일)|연휴 활용 최적의 날
불교에서 가장 큰 명절 중 하나인 석가탄신일은 2025년에는 5월 12일(월요일)입니다. 이 날은 법정공휴일이지만, 안타깝게도 대체공휴일 제도의 적용 대상은 아닙니다. 따라서 만약 이 날이 일요일이었더라도 대체휴일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요일이기 때문에 주말(토·일)과 연계한 3일 연휴를 만들 수 있어 짧은 여행, 힐링, 가족 나들이 등 활용도가 높은 날입니다.
5월 연차 꿀조합 추천!
5월에 ‘장기 연휴’를 노리는 분들을 위해 연차 전략을 제안드립니다. 법정공휴일 수가 많지는 않지만, 요일 배치만 잘 보면 3~4일 연속 휴식도 가능합니다.
조합 | 연차 사용일 | 연휴 기간 | 활용도 |
---|---|---|---|
5/1(목) + 5/2(금) | 연차 1일 | 4일 연속 (5/1~5/4) | 근로자의 날 연계 |
5/10(토)~5/12(월) | 연차 없음 | 3일 연휴 | 석가탄신일 포함 |
5/1 + 5/2 + 5/5 | 연차 2일 | 5일 연휴 | 강력 추천 |
5/1 + 5/2 + 5/5 + 5/12 | 연차 3일 | 10일 중 7일 휴식 | 장기 여행 가능 |
정리하며|2025년 5월, 휴일을 잘 쓰는 사람이 진짜 ‘리프레시’ 한다
2025년 5월은 명확하게 말하자면 ‘황금연휴의 달’은 아닙니다. 하지만 요일 배치가 좋은 편이고, 연차 한두 개만 써도 효율적인 연휴 계획이 가능합니다. 특히 근로자의 날이나 석가탄신일을 중심으로 연차를 적절히 배치하면, 3~4일 이상의 휴식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대체공휴일은 언제나 ‘일요일과 겹칠 때만 발생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그리고 근로자의 날이 공휴일이 아니라는 것도 잊지 마시고, 고용계약서나 사규를 꼭 확인하세요.
즐거운 5월 되시기 바랍니다.